반응형
저출산으로인한 초고령화 사회 얼마 안남았습니다. 시한폭탄이 따로 없네요. 터지기만을 기다리고 있는데요. 2030년 까지는 부양비율이 늘지만, 그 이후에는 계속 줄어 2060년에는 전체인구가 12%정도 줄어들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. 2060년에 생산가능인력(15세~64세)은 무려 40.2%가 줄어들어 노동인력의 저하로 국가 경쟁력이 상실 될것으로 전망한답니다.
2034년에는 국가재정이 바닥난다고하니, 나라개혁이 불가피 합니다.
2034년에는 국가재정이 바닥난다고하니, 나라개혁이 불가피 합니다.
![](http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그래도 난 둘이나 있으니 그나마 나라에 보탬이 되긴 했는데, 젠장!!! 가계형편은 정말 형편 없습니다. 연구원분석에 따르면 연금도 67세이후로 늘리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데, 헛웃음만 나오는군요~!!! 올 해 2016년부터 우리나라인구가 정점찍고 감소한다고 합니다.
65세는 노령 인구입니다!!!
왜? 65세일까요?!!!
아무이유 없습니다. 유엔에서 정했어요~!!! =^.,^=
유엔기준에 따른 고령화 기준
초고령화사회 : 전체인구 대비 65세이상 인구가 20%이상
고령사회 : 14% 이상
고령화사회 : 7% 이상
참고자료의 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고령인구비율이 2026년에는 20%, 2060년에는 그 비율이 무려 40.1%대로 진입한다고 합니다. 간단히 말해서 10명중 4명은 65세이상의 노인이 활동한다는 말입니다. 또한 80세이상이 전체인구의 17.2%로 매우 고령화된 사회로 된다고 하는데, 앞으로 45년후가 되겠군요. 에효~...! 한숨만 나옵니다.
그래서 경제가 성장할 수 없는겁니다.
참고자료
-2018년 '고령사회'의 진입과 차기정부의 역할 - 박종규 선임 연구위원
-통계청
-최진기의 생존경제
왜? 65세일까요?!!!
아무이유 없습니다. 유엔에서 정했어요~!!! =^.,^=
유엔기준에 따른 고령화 기준
초고령화사회 : 전체인구 대비 65세이상 인구가 20%이상
고령사회 : 14% 이상
고령화사회 : 7% 이상
참고자료의 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고령인구비율이 2026년에는 20%, 2060년에는 그 비율이 무려 40.1%대로 진입한다고 합니다. 간단히 말해서 10명중 4명은 65세이상의 노인이 활동한다는 말입니다. 또한 80세이상이 전체인구의 17.2%로 매우 고령화된 사회로 된다고 하는데, 앞으로 45년후가 되겠군요. 에효~...! 한숨만 나옵니다.
그래서 경제가 성장할 수 없는겁니다.
참고자료
-2018년 '고령사회'의 진입과 차기정부의 역할 - 박종규 선임 연구위원
-통계청
-최진기의 생존경제
![](http://static.naver.net/blank.gif)
고령화사회 문제점
1. 노동인력의 고령화, 노동인력 감소.
2. 급격한 소비 감소, 고령자 임금수준저하,
저출산 고령화로 2060년에는 국민연금소진이 예상된답니다.
고령화사회로 남는건 자산붕괴!!!
그냥 답답한 마음에 몇자 끄적였습니다.
반응형
'생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NS중독과 대인관계 (0) | 2016.06.02 |
---|---|
마케팅과 SNS, 그리고 소비자의 구매결정 (0) | 2016.06.02 |
2016 노래방 트렌드 분석 (0) | 2016.06.02 |
SNS홍보효과 (0) | 2016.06.02 |
술자리에서 마케팅을 배우다 (0) | 2016.06.01 |